안녕하세요. 메일플러그입니다.
회사 이메일을 도입하실 때,
좀 더 전문적인 서비스와 안전한 메일 보안을
필요로 하는 기업이 많으실 텐데요.
이런 고민을 가지고 계시다면,
서비스 선택 전 꼭 도입을 고려하셔야 할 기능이 있습니다.
바로 메일플러그의 메일 단독형 시스템인데요.
어떤 기능인지, 어떤 장점이 있는지 지금부터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어떤 기능인지 알아볼까요?
일반 기업메일은 보통 하나의 메일 서버를
다수 고객사가 공유하게 됩니다.
좀 더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지만,
서버를 공유하는 만큼 안정성은 떨어질 수 있는데요.
만약 특정 고객사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같은 서버를 공유하는 고객사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죠.
반면 단독형 시스템은 고객사별로 독립적인 IP를 제공하는데요.
그만큼 안정적인 회사 이메일을 사용하실 수 있죠.
또한, 용량 확장이 가능한 스토리지를 구축하여
무제한 용량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요.
어떤 기능이 지원되는지 살펴볼까요?
첫째, 서비스 수준 협약을 보장합니다.
서비스 수준 협약이란, 사업자와 사용자가 제공될 서비스와
관련된 조건을 서로 협약하는 것을 말하는데요.
제공 수준이 합의된 내용과 다르면 이에 받는 보상이 이루어져야 하죠.
사용자는 SLA를 통해 서비스 성능을 측정할 수 있게 되면서
구체적인 기준으로 서비스 환경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메일플러그 이메일 단독형 시스템은
이런 협약을 통해 서비스 가동률을 보장해 드리고 있습니다.
둘째, API 지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API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이 서로 연결되어 통신하며 상호작용할 수 있는데요.
메일플러그 단독형 시스템을 이용하시면,
API를 기존 서비스로와 연동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예를 들어, SSO를 통해 로그인 연동이 가능해지는데요.
SSO란 하나의 인증을 통해 다른 시스템 접근 전환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인증 시스템인데요.
이를 통해 특정 링크 클릭 시, 로그인된 채로 웹메일에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죠.
이외에도 조직도 연동, 계정 추가 및 수정 등
고객사 요청에 따라 다양한 연동 API를 소스 예제와 함께 제공해드립니다.
셋째, IMAP 무제한 연동을 제공합니다.
IMAP이란, 서버에서 이메일을 읽는 프로토콜을 의미하는데요.
여러 가지 디바이스를 IMAP 방식으로 연결하면,
모든 기기에서 동일한 메일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죠.
모바일이나 태블릿 PC, 아웃룩 등 연동을 사용하신다면
IMAP 연동을 많이 이용하실 텐데요.
일반 기업메일은 IMAP으로 불러올 수 있는 데이터가
폴더 당 1,000건으로 제한되는데요.
단독형 시스템을 이용하시면, 데이터 개수나 용량
제한 없이 동기화하여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일일 발송량 증설과 멀티도메인을 제공합니다.
먼저 일일 발송량은 일반 기업메일의 경우, 500건으로 제한되는데요.
반면 단독형 시스템을 이용하시면,
일일 발송량을 3,000건까지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멀티도메인 3개를 무료로 제공하는데요.
멀티도메인이란 하나의 기업메일 서비스에서
여러 개 도메인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메일 주소 중 @ 뒤에 위치하는 도메인을 여러 개 사용할 수 있죠.
여러 브랜드를 운영하거나 지사별로 이메일을 분리하는 등
도메인이 여러개 필요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죠.
오늘은 메일플러그 이메일 단독형 시스템에 대해 말씀드렸는데요.
회사 이메일 보안부터 안정적인 회사 이메일,
다양한 기능까지 이용하고 싶다면
단독형 시스템 도입을 고려해 보시길 바랍니다.
메일플러그 단독형 시스템은 계정 수 무관하게
월 60,000원에 이용하실 수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홈페이지에서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그럼 더 유익한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메일플러그 단독형 시스템 확인하기
'기능 활용법 > 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긋지긋한 스팸메일, 확실하게 차단하기 (0) | 2022.06.03 |
---|---|
업무메일 보안 필수! 사이버 공격에서 계정을 지키는 법 (0) | 2022.04.22 |
메일 아카이빙, 웹에서 편리하게 데이터 관리하기 (0) | 2022.02.21 |
사내 메일 보안,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대비하는 법 (0) | 2022.02.04 |
기업 웹메일 데이터, 아카이빙으로 복구하는 방법 (0) | 2021.06.02 |